전체 글 14

제주 향토음식은 자연의 맛을 살린 음식입니다.

자연 맛을 살린 음식요즘은 다양한 식재료들이 들어와 식생활이 달라졌지만 옛 제주도의 식생활 특성을 먹거리와 연결해 정리하여 보면 우선 식단이나 조리 방법이 단조로우면서도 재료 자체의 자연 맛을 많이 살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제주도 음식은 요리법이 간단하면서도 양념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여름 밥상의 기본은 보리밥에 국(된장국), 김치, 젓갈(멸치)이거나 보리밥에 국(생선국), 김치, 나물무침이고 겨울에는 주식만 달라져 보리밥 대신 차조밥을 먹었습니다. 생활 정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하루 세 끼만 먹었고 간식은 거의 없었습니다. 이것은 절약하는 생활 습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중노동을 하는 사람도 간식은 먹지 않았습니다. 대체로 주식 대용이 되었지만, 세 끼 ..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제주 전통혼례 신랑신부상

혼례상신랑신부상대반상상객상가문잔치상하객상혼례 뒤 잔치  혼인례는 사람이 성장하여 때가 되면 남녀가 만나 부부가 되어 혼인하는 의식이 혼례입니다. 제주도의 혼례는 '일뤠잔치'라고 하여 잔치 전 이부자리 준비하는 날, 돼지 잡는 날, 가문잔칫날, 잔칫날, 신부집 사둔열맹(잔치 다음날) 잔치, 신랑집 사둔열맹(잔치 다음다음날) 잔치, 설거지하는 날로 이어집니다. 혼례에는 봉채떡, 폐백, 큰상, 입맷상 등을 준비하여 각 의식에 따라 상차림도 다르게 준비합니다. 제주도의 혼례는 하객들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므로 대부분 마을 잔치로 커지기 쉽습니다. 혼례 전날은 가문잔치라 하여 친족들에게 '초불밥'이라 하는 잡곡에 쌀을 혼합한 잡곡밥을 제공하였으며 쌀밥은 잔치 당일에만 차리거나 신랑, 신부와 사돈에게만 제공되었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제주 절기 음식과 의례음식

육지와 떨어진 섬이라는 독특한 지형적 특성 덕분에 제주는 독자적인 음식 문화를 형성해 왔습니다. 예로 쌀밥을 두고 "곤밥"이라 부르며 소중히 여겼습니다.  주로 밭농사와 어업을 중심으로 생활해 온 제주 사람들은 계절에 따라 절기 음식을 만들고, 각종 의례 때마다 그에 맞는 음식을 정성껏 준비해 나누었습니다. 큰 틀에서 보면 제주의 음식 문화는 다른 지방과 유사해 보일 수 있지만, 제주의 절기와 의례 음식은 육지와는 확연히 다른 독특한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산업화와 현대화로 인해 우리의 식생활이 점차 서구화되면서, 향토 음식은 일상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운 존재가 되었습니다. 또한, 전통과 타협한 음식들이 많아지면서 본래의 맛을 잃어가는 경우도 늘어났습니다. 그러나 최근 웰빙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건..

카테고리 없음 2025.03.17

제주 대표 향토음식 탐방 "우럭콩조림"

제주의 바다를 담은 맛, 우럭콩조림 우럭콩조림의 유래와 특징 주요 재료와 조리법제주의 자연을 담은 건강식결론 제주는 청정한 자연환경과 맑은 바다로 유명한 곳입니다. 이곳에서는 신선한 해산물이 풍부하게 잡힙니다. 부드럽고 담백한 맛은 제주의 전통 요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중 하나가 바로 "우럭콩조림"입니다. 이 요리는 제주의 신선한 해산물과 전통적인 조리법이 어우러져, 깊고 풍부한 맛을 자랑하는 향토 음식입니다. 우럭은 대체로 국이나 조림, 구이로 먹습니다. 회는 껍질을 벗긴 살을 랩으로 싸서 냉장고에 하루 정도 두면 맛이 더욱 좋아집니다. 껍질도 맛있기 때문에 버리지 않고 살짝 뜨꺼운 물에 데친 후 냉수로 씻어 여분의 지방을 제거해 조리해서 먹습니다. 지방이 많고 근육이 부드러우므로 오래 가열하면..

제주탐험 2025.03.16